티스토리 뷰
3. 장애유형의 분류
1. 장애유형의 대분류
1) 신체적장애
- 외부 : 지체장애 :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장애 :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청각장애 :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안면장애 : 안면부의 추상, 함몰 ,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 내부 : 신장장애 : 투석치료중이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심장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 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뇌전증장애(간질) :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질.
2) 정신적 장애
- 발달장애 : 지적장애 :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자폐성 장애 :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 정신장애 : 정신장애 :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
2. 장애 유형별 등록 장애인 수
1) 신체적장애
- 외부 : 지체장애 : 1,309,285
뇌병변장애 : 253,493
시각장애 : 253,095
청각장애 : 255,399
언어장애 : 17,830
안면장애 : 2,696
- 내부 : 신장장애 : 66,551
심장장애 : 6,928
간 장애 : 9,194
호흡기장애 : 13,150
장루,요루장애 : 13,546
뇌전증장애(간질) : 7,271
2) 정신적 장애
- 발달장애 : 지적장애 : 178,866
자폐성 장애 : 18,133
- 정신장애 : 정신장애 : 95,675
합 계 : 2,501,112
자료 : 2013 보건복지백서
3. 장애유형의 소분류
- 지체장애 :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골격, 근육, 신경 중 일부분을 다쳐 운동장애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예 : 소아마비, 척수손상 등의 각종 마비, 사지의 절단, 관절강직, 변형 등으로 사지 사용이 자유롭지 못하고 운동기능이 떨어
지는 상태를 말한다.)
!! 휠체어, 목발은 장애인 곁에 둡시다. 경사로에서 알려주지 않고 휠체어를 놓는 것은 대단히 위험합니다.
- 뇌병변 : 질병이나 사고 등으로 뇌에 외상성 손상이 생겨 보행 또는 언어, 일상생활 동작에 제한을 받는 것을 말한다.
(예 :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
!! 음료수를 권할 때는 빨대를 꽂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걸어갈 때 보행 속도를 맞추도록 합니다.
- 시각장애 : 안경을 쓰고도 잘 안보이거나, 볼 수 있는 범위가 절반 이상 감소된 경우를 말한다.
전혀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은 소수이며, 대부분은 명암이나 물체의 형체 정도는 구분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 음료수를 권할 때는 뜨거운지, 차가운지 알려주고 손을 잡아 직접 대어줍니다.
!!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서류나 물건은 임의대로 옮겨놓지 않습니다 .
- 청각장애 : 소리를 들을 수 없거나 들어도 분별하기 어려운 상태. 소리를 들을 수 없어 말을 하는 것도 배우지 못하는 경우
를 말한다.
(예 : 보통 소리는 듣기가 어려운 난청으로부터 전혀 들을 수 없는 농(聾)이 있다.)
!! 말할 때는 눈을 보며 천천히 정확하게 발음하고 필요하면 반복하여 말합니다.
!!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진 경우에는 그 상황을 설명해 줍니다 .
- 언어장애 : 타인의 말을 알아듣거나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데 지장이 있어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 신장장애 : 신부전증으로 인하여 현재 투석을 하고 있거나 신장을 이식한 경우를 말한다.
- 심장장애 : 심장 기능의 장애가 지속되며, 심부전증 또는 협심증의 증상 등으로 일상생활에 제약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
- 호흡기 장애 :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기능이 만성적으로 나빠서 일상생활에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자를 말한다.
- 간장애 : 만성적으로 간 기능이 약하고, 그에 의한 합병증 등으로 일상생활에 있어 상당한 제한을 받는 자를 말한다.
- 장루·요루장애 : 배변기능 또는 배뇨기능에 문제가 있어 장루(腸瘻) 또는 요루(尿瘻)를 시술하여 일상생활에 있어 상당한 제
한을 받는 자를 말한다.
- 뇌전증장애 : 신경세포가 짧은 시간 동안 과도한 흥분상태를 일으킴으로써 발작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
!! 발작의 유형은 다양하므로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이면 발작일 수 있습니다.
- 지적장애 : 지적능력(지능)이 낮고, 인지·판단 및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조기에 알맞은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기능 및 자립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정신장애 : 정신질환으로 인해 생활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 상태로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스트레스 관리를 해주면 일상생
활을 잘해나갈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자폐성장애 : 사회성 및 언어 등 아동의 발달영역에 전반적인 발달이상을 나타내는 자폐증 및 여러 가지 행동문제를 보이
는 행동장애, 정서기능에 이상을 보이는 정서장애, 학습기능의 이상을 보이는 학습장애 등을 말한다.
자폐아동의 특징적 증상
- 다른 사람과 눈 맞춤을 하는 게 어렵다.
- 주변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적다.
- 상황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의미 있는 대화를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같은 행동을 반복하거나 특정사물에 대한 집착이 있다.
- 변화를 싫어하며, 사물이나 환경이 자신이 정한 질서대로 존재하길 고집한다.
※ 장애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음
출처 : 보건복지인력개발원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복지 메뉴얼_5 (0) | 2017.02.19 |
---|---|
장애인복지 메뉴얼_4 (0) | 2017.02.19 |
장애인복지 메뉴얼_2 (0) | 2017.02.18 |
장애인복지 메뉴얼 (0) | 2017.02.16 |
펌 ) 호랑이 목격담 (1) | 2017.02.16 |